iDO  - 결혼준비 자료실

본식에서 가장 중요한 축의대 준비 & 정산 가이드

✔ 유튜브 출처: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lGBKzCFF07Y✔ 영상 제공: 실경험 기반 유튜버


✅ 축의대란?
  • 하객이 오면 축의금을 받고, 식권을 드리고, 방명록을 작성하게 도와주는 역할
  • 결혼식 당일, 예식만큼 중요한 자리!


✅ 누가 맡으면 좋을까?
  • 무조건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해요.
  • 너무 연세 많은 분보다는 적당히 젊은 친인척 추천 (예: 사촌, 막내 이모, 삼촌 등)


✅ 축의대 업무는 어떻게 나눌까? (2명 기준)

🅐 하객 응대 담당

  • 하객 도착 시 봉투 이름 확인
  • 방명록 작성 유도
  • 몇 분이 오셨는지 물어보고 식권 전달


🅑 금액 확인 및 기록 담당

  • 봉투에서 금액 확인 후 다시 넣기
  • 봉투에 금액 기재
  • 정산용 방명록에 이름/금액/식권수 기록


✅ 보조 인력까지 있으면 베스트!
  • 화장실 위치, 주차, 신부대기실 등 안내 도와줄 인력이 1명 더 있다면 더 완벽해요.


✅ 본식 후, 축의금은 어떻게 처리?
  • 담당자가 가방에 보관하거나 차량에 보관 → 식 끝나고 정산실에서 다시 신랑신부와 정산
  • 예식장 떠나기 전, 총금액 반드시 맞춰보기!


✅ 정산은 어떻게?
  • 당일 축의금으로 바로 정산할지, 추후 따로 할지 미리 상의
  • 신랑·신부 측 비용 나누는 방식도 자유롭게 조율 가능
  • 예식장에 미리 전달하면 반영 가능!




📄 꼭 준비해야 할 안내문 2가지


1️⃣ 축의대 안내문

  • 화장실, 주차장, 대기실 위치 등 필수 정보 정리
  • 축의대에 서는 분이 예식장을 잘 모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미리 전달!


2️⃣ 어린이 식권 안내문

  • 예식장마다 어린이 나이 기준이 다름
  • 식권 혼선을 줄이기 위해 “어린이 몇 세~몇 세” 문구를 인쇄해서 비치




💡 Summary: 결론 정리

축의대는 단순히 돈을 받는 자리가 아니라, 하객 응대 + 예식 안정성을 책임지는 핵심 업무입니다.
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부탁하고, 사전 안내문 2종(축의대, 어린이 식권)을 꼭 준비해 주세요.
정산 방식은 신랑신부가 사전 조율 후 예식장에 전달만 하면 OK!
본식만큼 중요한 축의대, 미리 꼼꼼히 준비해서 당일 걱정 없이 예식에 집중하세요 💛